
해외여행이나 국내선 항공편을 이용할 때,
가장 헷갈리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항공 수화물 규정이죠!?
항공사마다 다르고, 무게와 크기 제한도 있어
사전에 확인하지 않으면 추가 요금이나 물품 반입 제한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죠.
이번 글에서는 항공 수화물에 대해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부터,
기내수화물 vs 위탁수화물 차이, 항공사별 기준,
자주 묻는 질문과 팁까지 정리해드릴게요.
1. 항공 수화물이란?

항공 수화물은 비행기 이용 시 승객이 운반하는 짐을 의미하며
크기와 운송 방법에 따라 기내수화물(휴대 수화물)과 위탁수화물(체크인 수화물)로 나뉩니다.
- 기내수화물: 비행기 좌석 위 선반에 직접 가지고 탈 수 있는 짐
- 위탁수화물: 체크인 시 항공사에 맡기는 짐 (수화물칸에 실림)
각 항공사마다 무게, 크기 제한이 다르기 때문에 출발 전 확인이 필수!
2. 기내수화물 규정 (일반 기준)

- 무게: 7kg~10kg 이하
- 크기: 3면 합 115cm 이하 (보통 55x40x20cm 내외)
- 기내 반입 가능 품목
- 노트북, 카메라, 소형 캐리어, 책, 음식 등
- 액체류: 100ml 이하 × 1L 지퍼백에 한해 반입 가능!
*칼, 라이터, 헤어스프레이, 날카로운 도구는 기내 반입 금지
*기내 반입 물품은 보안검색에서 따로 꺼내야 하니 미리 준비하세요
3. 위탁수화물 규정 (일반 기준)

- 무게: 20kg~23kg (항공사별 차이 존재)
- 크기: 3면 합 158cm 이하
- 무료 수화물 허용량: 항공권 클래스, 노선, 항공사에 따라 다름
- 초과 요금: 무게/크기 초과 시 kg당 약 1만~2만원 추가 요금 발생 가능
*배터리, 보조배터리, 전자담배 등은 위탁 불가 → 기내 반입 필수
*귀중품이나 파손 위험 물품도 위탁보단 기내 휴대 권장
4. 항공사별 수화물 기준 비교 (예시)!

항공사기내 수화물위탁 수화물
대한항공 | 12kg (1개) | 23kg (1~2개) | 노선/좌석 등급별 차이 있음 |
아시아나 | 10kg | 23kg (1~2개) | |
제주항공 | 10kg | 15~20kg | 기본 운임엔 위탁수화물 미포함 경우 있음 |
진에어 | 10kg | 15~20kg | |
에어부산, 티웨이 | 10kg | 15~20kg |
항공권 예매 시, 운임제(라이트, 스마트, 플렉스 등)에 따라 수화물 포함 여부가 다르니 주의하세요.
5. 자주 묻는 질문 & 꿀팁★

- 수화물 무게 오버됐을 때 현장에서 조정 가능할까?
→ 현장 무게 측정 전, 미리 나눠 담거나 여분 가방 준비 추천 - 국제선과 국내선 수화물 기준이 다른가요?
→ 국제선이 보통 더 넉넉하며, 국내선은 기내 수화물만 포함된 경우 많음 - 기내에서 꺼낼 물건은 따로 챙겨야 하나요?
→ 노트북, 여권, 약, 충전기 등 자주 쓰는 물건은 별도 가방(백팩)에 넣기 - 액체는 무조건 위탁해야 하나요?
→ 100ml 이하, 1L 지퍼백에 담으면 기내 반입 가능 (단, 알코올/화장품 주의)
6. 정리 & 마무리

항공 수화물 규정은 항공사마다 세부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
여행 전 반드시 탑승 항공사의 공지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!
기내수화물과 위탁수화물 차이를 이해하고
불필요한 추가 요금이나 불편을 줄여봅시다!